본문 바로가기
창업

호감을 사는 깔끔한 공문 작성법_이론편

by 담당좌 2024. 9. 8.
반응형

공문으로... 달라고요?

사업에 선정이 되고, 사업 계획을 수정하다보면 공문으로 달라는 요청을 받으실 겁니다. 

그런데 민간기업 특히, 스타트업에서 공문을 써보실 일이 거의 없으시죠. 

자, 오늘은 공문에 꼭 들어가야할 내용과 지켜야할 형식을 알아보겠습니다.

 

1. 공문의 기본 구성 요소

  • 수신: 공문을 받는 기관을 적습니다. (서울경제진흥원장, 서울시장 등 보통 해당 기관의 장을 적습니다.)
  • 제목: 공문의 목적이나 내용을 간결하게 표현한 제목을 적습니다.(ex 2024년 000사업 사업계획 변경 승인 요청)
  • 본문: 공문의 주요 내용과 목적을 명확하게 전달합니다. 필요한 경우 항목별로 나누어 정리합니다.
  • 붙임: 공문에 첨부된 파일이 있을 경우, 첨부 파일의 목록이나 설명을 기재합니다.
  • 서명 및 직인: 문서의 공식성을 나타내는 인감을 찍으시면 됩니다. 법인인감 혹은 대표자 도장을 찍으시면 됩니다. 
  • 조사관: 민간기업의 경우 담당자 정도로 사용하지면 됩니다.
  • 시행: 일반적으로 해당 문서 번호를 적게 됩니다. 민간기업에서는 그냥 문서 번호 정도로 기입하기도 합니다. 

2. 공문 형식의 세부 사항

  • 본문의 구분: 공문의 본문은 일반적으로 논문의 형식과 동일하게 진행합니다. 1.2.3 순으로 가고, 하위 항목은 가.나.다. 그 하위 항목은 1),2),3) 그 하위 항목은 가)나)다)
  • 문단 구분 및 간격: 일반적으로 하위항목으로 들어가게 되면 스페이스 두번 치고 들여쓰게 됩니다.

3. 내용

  • 보통 기업에서 기관으로 보낼때는 '귀 기관의 무궁한 발전을 기원합니다.' 라고 1번에 적게 됩니다. 
  • 그 후, 2번에 하고자 하는 말을 적습니다. 예를 들어 '2024년 사업에 대한 사업계획을 변경하고자 하오니 승인하여 주시기바랍니다.' 정도로 적게 됩니다. 
  • 그 이후 하위 항목으로 변경된 사업 계획 내용을 적으시면 됩니다. 해당 내용을 사업마다 다르니 그때그때 맞게 사용해주시면 됩니다.

4. 붙임문서

  • 붙임 문서의 경우, 공문에 적지 못하거나 제출하고자 하는 자료를 첨부하는 첨부 서류를 말합니다. 
  • 붙임문서가 한개만 있을 경우, '붙임  사업계획서  1부.  끝.' 이런식으로 작성하시면 됩니다.
  • 만약 여러개라면, 붙임 1. 사업계획서 1부. 
  •                                      2. 정산 요청서 1부.  끝. 이런식으로 숫자를 늘려서 작성하면 됩니다. 
  • 이 부분에 대해서는 실전편에서 다시 설명드리겠습니다.  

 

하나를 보면 열을 안다고... 

사실, 담당자는 적게는 몇개 혹은 수십, 수백개의 기업을 상대하게 됩니다. 그에 따라 행정적 절차를 위하여 공문을 요청하게 되는데... 보통 사업을 잘 하시는 분들은 공문도 잘 작성하여 주십니다. 보통은 서류도 깔끔하게 작성하여 주시죠. 그렇게 되면 담당자들도 사람인지라... 호감도가 확 올라갑니다. 

 

그러니, 여러분들도 깔끔한 공문을 통해 좋은 이미지를 심어주시기 바라겠습니다. 

 

항상 응원합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